,·´″```°³о♣마음의 쉼터↘/이당(怡堂) 안병욱

지족안분(知足安分) / 안병욱

sunog 체칠리아 2012. 10. 8. 23:39

 

 

지족안분(知足安分) / 안병욱

 

 

"지족안분(知足安分)"

"지족안분(知足安分)"은 인생의 소중한 금언입니다.


지족은 만족할 줄 아는 것이요,

안분은 자기의 분수를 지키는 것입니다.

 

우리는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자기의 분에 만족할 때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 항상 불만을 품고,

탐욕의 노예가 된다면 우리는 잠시도

마음이 편안할 수가 없습니다.


부족하더라도 족하다고 생각하면 언제나 여유가 있는 법이요,

족하지만 부족하다고 여기면 항상 부족한 것입니다.

 

인생은 마음가짐에 따라서 행(幸), 불행(不幸)이 크게 지배됩니다.

인생을 행복하게 살려면 "지족"의 철학이 필요합니다.

자기가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사람은 제 몫이 있고, 자기에게 할당된 분배가 있습니다.


사람은 저마다 제 자리가 있고, 제 정도가 있습니다.

제 자리를 알고 제 정도에 맞게 살아야 합니다.
무슨 일이든 (得)이 있으면 반드시 (失)이 있게 마련입니다.


세상의 모든 일이 다 상대적입니다.
인생에서 지족안분만 지나치게 강조하면

전진을 위한 분투노력이 게을러지기 쉽습니다.

아직 만족해서는 안될 단계인데도 만족하고,

더 전진할 여지가 있는데 그만 머무르고 만다면

이는 전진과 향상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지족안분의 이름 아래서 우리는 전진과 노력을 중지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어느 정도, 어느 단계에서 지족안분할 것이냐?

그것은 슬기로운 지혜를 요하는 문제입니다.


진리는 언제난 중용(中庸)의 상태에서 찾아야 합니다.

중용의 지족안분은 인생의 행복한 요소입니다.


박쥐 공부:

중용1 (中庸) 치우침이나 과부족(過不足)이 없이

떳떳하며 알맞은 상태나 정도.

중용2 (中庸) (책명) 중국 유교(儒敎)의 경전으로, 사서(四書)의 하나.

중용의 덕과 인간의 본성인 성(誠)에 대해 설명함.

첨부이미지